본문 바로가기

음악/장르/ 음악용어

하프시코드(harpsichord) ◈ 유투브 감상 Johann Sebastian Bach: Goldberg Variations, BWV 988 연주 / Pierre Hantaï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9NYqiKm3gng#t=398 건반 악기이자 현악기이다. 대부분의 경우 건반의 색깔이 피아노와는 반대다. 간혹 흰 건반이 상아색 또는 나무 색깔이거나, 아예 피아노와 건반색이 똑같 은 경우도 있긴 하다. 악기 밑에 별도의 페달은 없으나, 간혹 오르간 페달처럼 생긴 페달이 있는 것도 있다. 독일어로는 쳄발로(Cembalo)라 부른다. 서양음악사에서 하프시코드의 등장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문헌상으로 는 1425년의 기록이 가장 오래 된 것으로 남아있다. 그.. 더보기
샤콘느(Chaconne) ** 유투브 감상 / Sarah Chang 연주 : Vitalli-Chacone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AloBa9SPM7U 아메리카 대륙에서 발생한 샤콘느는 활발한 리듬, 명랑한 기분을 갖고 있어서 사라방드와 비슷하다. 이런 성격 탓인지 스페인 태생으로서 프랑스에 정착해 서 활동하던 브리세뇨는 1626년에 죽은 자를 부활시키기 위한 춤곡으로 샤콘 느를 쓰기도 하였다. 사라방드를 즐겼던 스페인 사람들은 샤콘느를 사라방드와 결부시켜 생각했 고, 프랑스인들은 샤콘느를 파사칼리아와 연관시켜 생각했던 것으로 보아진 다. 그런가하면 독일인들은 샤콘느를 아주 장중한 성격으로 만들었다. 바하의 샤콘느가 이를 증명한다. *** 작품들 쿠프랭.. 더보기
사라방드(Sarabande) ** 유투브 감상 / 오케스트라 버전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JSAd3NpDi6Q 오르간 버전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e-4p66XlA5w 민간전승에 의한 풍년기의 여성 무용으로 출발한 춤이다. 기원은 멕시코로 추 정되지만 16세기에 스페인에 들어와 크게 유행했다. 18세기 이후에 이 춤의 템 포가 상당히 느린 것으로 변했지만 처음엔 아주 빠른 춤일 뿐 아니라 매우 관 능적이어서 사람들을 흥분시키는 정도 였다고 전해진다. 그런 이유로 1588년, 필립 2세에 의해 금지되기도 하였다. 돈 키호테 작가인 세르반테스는 이 춤이 갖고있는 민중적이며 생생한 .. 더보기
쿠랑트(Courant) ** 유투브 감상 / Handel-courant F장조 HWV488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e3EqwUhcaYI 이탈리아에서는 코렌테(Corrente)라고 부르는 춤이다. 프랑스어의 '달리다 (courir)'라는 말에서 유래된 춤이다. 16세기에 발생하여 17세기엔 모음곡의 중 요한 요소로 정착되었는데, 17세기엔 이탈리아 스타일과 프랑스 스타일로 나 뉘게 되었다. 전자의 경우는 3/4 또는 3/8박자의 빠른 곡으로 끊임없이 달리는 듯한 음형을 갖고 있고, 후자는 보다 세련된 맛과 보통 빠르기로 연주된다. 3/2 또는 6/4박 자로 박자는 종종 엇바뀐다. 이 엇바뀌는 박자의 매력이 프랑스풍 쿠랑트의 특 징인 것이다. *** 작.. 더보기
카롤(Carol) ** 유투브 감상 / Ther is no rose of swych vertu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EkYsNZcQt64 중세기 유럽에 다시 나타난 론도를 카롤이라고 불렀다. 카롤이라는 용어는 12 세기에 프랑스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윤무의 일종인데, 이 춤은 르네상스 시대 무용의 귀중한 원천이 되었다. 이를 위한 음악도 많이 만들어 졌다. 13세 기엔 오보에, 봉바르드(오보에의 전신, 오보에보다 낮은 음정을 낸다) 등 관악 기가 주로 사용되었고, 후엔 관악기, 탬버린, 소형 하프, 비엘(Vielle) 등의 악 기가 참여하는 비교적 규모가 큰 음악으로 발전하였다. 중세에 있어서 카롤은 사람들이 가장 즐겨 노래하고 춤추던 대.. 더보기
파반느(Pavane, Pavanne(프랑스) ** 유투브 감상 Gabriel Fauré - Pavane op.50 / Bobby McFerrin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IN-cY-f8Yqs Faure-Pavane-Orchestra Filarmonica della Scala Direttore e vocalist http://www.youtube.com/watch?v=udwWw2AsN88&feature=player_detailpage 시기적으로는 바스 당스보다 다소 늦게 파반느가 나타났다. 이 춤 역시 보행조 (步行調)의 느릿한 걸음걸이로 추어진다. 물론 바스 당스에서 파생된 춤이다. 1518년, 프랑스의 국왕 프랑스와 1세는 바스티유 궁정에서 축하연을 베풀었는 데 40쌍 .. 더보기
오라토리오(Oratorio) ** 유투브 감상 / Giacomo Carissimi: Histoires Sacrees 'Oratorio del la Vierge'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oDJ0Xd7ryys&list=PL8575BFB8C09A5181 마틴 루터(Martin Luther)에 의한 종교개혁 운동은 로마 가톨릭 교회로 하여 금 반종교개혁(反宗敎改革) 정책을 펴도록 자극하게 되는데, 특히 1539년에 설 립된 예수회(Jesuit)는 반종교개혁의 유력한 중심체가 되었으며 프로테스탄트 의 공격에 대립하는 훌륭한 방어체가 되었다. 특히 예수회의 예술적 경향은 어 느 정도는 바로크 양식 그 자체였다고 볼 수 있으며, 전교(傳敎)의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서.. 더보기
미사(Missa, Mass) ** 유투브 감상 / Johannes Ockeghem Missa prolationum, per 4 voci http://www.youtube.com/watch?v=-NYETxriizg&feature=player_detailpage 그리스도교의 음악예전(音樂禮典)에 관한 역사를 살펴보면 가장 오래된 것이성무일 과(聖務日課, Officium)임을 알 수 있다.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시간별로 행하여지는 기도회가 성무일과인데, 이때 사용된 음악은 시편송(詩篇頌, Psalms), 라우데스 (Laudes), 칸티카(Cantica)등이 있었고, 훨씬 후대에 만들어진 모테트(Motet)도 성 무일과를 위한 음악이다. 시편송은 구약의 시편을 노래하는 것으로서 "시편은 다만 낭송하는 것이 아니고 노래부르는 것" 이라고 한.. 더보기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 ** 유투브 감상 / Gregorian Chant, 1965: Choir of the Abbey of Mount Angel, Dom David Nicholson, OSB http://youtu.be/dGKqS0nubh0 Gregorian Chant - "Salve Regina" http://www.youtube.com/watch?v=d5p_U8J0iRQ&feature=player_detailpage 음악사학자 D.그루트(Donald J.Growt)는 그레고리오 성가에 대한 일반적 인 상을 다음과 같이 쉽게 설명하고 있다. "그레고리오 성가를 처음 들을 때 우리는 그것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상을 느끼 게 되기가 쉽다. 우리는 이 성가에 있는 것 보다는 없는 것에 대해서 더 놀라 게 된다. 선율을 받쳐주는 화.. 더보기